개발자로서 좋은 코드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합니다.
어떤 코드가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, 저에게 있어 좋은 코드란 다음 세 가지입니다.
- 리소스를 적게 소모하는 코드: 컴퓨팅 성능을 고려해야 한다.
- 가독성이 좋은 코드: 커뮤니케이션 및 코드리뷰가 쉬워야 한다.
- 유지보수가 편한 코드: 서비스 변경의 적용이 쉬워야 한다.
좋은 코드를 작성하게끔 도와줄 Java Enum
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Java Enum 활용기 - 우아한기술블로그를 참고했습니다.
Enum이란?
Enum은 서로 관련된 상수들의 집합을 정의하는 데 사용하며,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갖습니다.
-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:
열거형을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enum을 사용하면 각각의 상수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를 읽는 사람이 이를 이해하기 쉬워집니다. 또한, 나중에 코드를 유지보수할 때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- 타입 안정성(Type Safety) 보장:
열거형을 사용하면 컴파일러가 상수의 유효성을 검증해주므로 잘못된 상수를 사용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이는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여줍니다.
- 값의 변경 제한:
열거형 상수는 불변(Immutable)하며, 한 번 정의된 후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. 이는 값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드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줍니다.
- IDE(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) 지원:
대부분의 현대 IDE는 열거형을 지원하여 코드 작성을 도와줍니다. 예를 들어, 코드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하여 열거형의 상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- Switch 문의 안전성 향상:
열거형을 사용하면 switch문을 사용할 때 해당 열거형에 속하는 모든 상수에 대한 처리를 강제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누락된 경우에 대한 오류를 줄여줍니다.
- 코드의 일관성 유지:
관련된 상수를 하나의 열거형으로 그룹화하면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이는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다양한 부분에서 동일한 상수를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기본 활용
다음과 같은 예시 코드가 있다고 가정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|
try {
...
if(progress){
...
code = 200;
}else{
...
code = 400;
}
} catch (Exception e) {
...
code = 500;
}
return code;
|
현재 코드에서는 return할 코드값에 대해 직접 값을 입력하고 있습니다.
문제는 해당 값이 명시적이지 않으며, 추후 유지보수 시 이슈나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
1
2
3
4
5
6
7
8
9
|
public enum MyPageResultType {
SUCCESS,
FAIL,
EXCEPTION;
}
...
code = MyPageResultType.SUCCESS;
code = MyPageResultType.FAIL;
code = MyPageResultType.EXCEPTION;
|
이 경우 Enum class를 선언하고 code값으로 해당 값을 전달함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Enum값에 따라 code에는 “SUCCESS”, “FAIL”, “EXCEPTION"이 담기게 됩니다.
Java의 Enum
Java의 Enum은 완전한 기능을 갖춘 클래스이기에 기존 Enum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
데이터들 간의 연관관계 표현
기본 활용에서 예시를 들었던 코드에서, code
에 name
이외의 값을 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?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|
public enum MyPageResultType {
SUCCESS(200),
FAIL(400),
EXCEPTION(500);
private int code;
MyPageResultType(int code){
this.code = code;
}
public int getCode(){return code;}
}
...
code = MyPageResultType.SUCCESS.getCode();
|
구현된 코드를 보면 “SUCCESS"와 200이 동일한 묶음으로 취급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, getCode()
를 통해 변수에 코드값을 바로 대입할 수 있습니다.
상태와 행위를 한곳에서 정리
DB에 저장된 code값에 따라 다른 계산식을 적용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봅시다.
1
2
3
4
5
|
String code = selectCodeFromDB(); //DB에서 조회
Double value = 1000;
Double result = Calculator.calculate(code, value); //계산 메소드 실행
//Calculator는 if문이나 switch문으로 구성
|
분명 요구사항에 맞게 작동은 하겠지만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Calculator와
code
의 연관관계를 표현하지 못함.
code
에 잘못된 값이 들어갈 수 있음.
- 관리 차원의 문제: 메소드 중복 생성, 메소드 호출 누락, 관리 포인트 증가 등
아래는 Enum을 활용하여 개선한 코드입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|
public enum CalculatorType {
CAL_A("Student", value -> value * 0.8),
CAL_B("Adult", value -> value),
CAL_C("Senior", value -> value * 0.5);
private String title;
private Function<Double, Double> expression;
CalculatorType(String title, Function<Double, Double> expression) {
this.title = title;
this.expression = expression;
}
public Double calculate(double value) {
return expression.apply(value);
}
public String getTitle() {
return title;
}
}
...
@Column
@Enumerated(EnumType.STRING)
private CalculatorType calculatorType;
...
CalculatorType code = selectCodeFromDB();
Double value = 1000;
Double result = code.calculate(value);
|
사람을 나이별로 Type을 나누어 계산한다고 했을 때, 이와 같이 표현하면 별도의 클래스를 구현하지 않고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.
CalculatorType 클래스에서 code
와 calculate()
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어 추후 관리차원에서도 유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데이터 그룹관리
데이터를 그룹별로 관리하는 데도 Enum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결제 시스템을 구현해야 한다고 했을 때, 결제 데이터에는 결제 종류와 결제 수단이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신용카드 결제는 결제 수단이며 카드라는 결제 종류에 포함됩니다.
이 경우에도 Enum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.
- 둘의 관계 파악
- 입력값과 출력값 제한(검증 코드 불필요)
- 그룹별 기능 추가(조건문 불필요)
예시 코드입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|
public enum PayType {
ACCOUNT_TRANSFER("계좌이체"),
REMITTANCE("무통장입금"),
ON_SITE_PAYMENT("현장결제"),
TOSS("토스"),
PAYCO("페이코"),
CARD("카드"),
KAKAO_PAY("카카오페이"),
POINT("포인트"),
COUPON("쿠폰"),
EMPTY("없음");
private String title;
PayType(String title) {
this.title = title;
}
public String getTitle() {
return title;
}
}
|
Enum으로 결제 종류를 만들고, PayGroup
에서 이를 사용하도록 작성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|
public enum PayGroup {
CASH("현금", Arrays.asList(PayType.ACCOUNT_TRANSFER, PayType.REMITTANCE, PayType.ON_SITE_PAYMENT, PayType.TOSS)),
CARD("카드", Arrays.asList(PayType.PAYCO, PayType.CARD, PayType.KAKAO_PAY)),
ETC("기타", Arrays.asList(PayType.POINT, PayType.COUPON)),
EMPTY("없음", Collections.emptyList());
private String title;
private List<PayType> payList;
PayGroup(String title, List<PayType> payList) {
this.title = title;
this.payList = payList;
}
public static PayGroup findByPayType(PayType payType) {
return Arrays.stream(PayGroup.values())
.filter(PayGroup -> PayGroup.hasPayCode(payType)).findAny()
.orElse(EMPTY);
}
public boolean hasPayCode(PayType payType) {
return payList.stream().anyMatch(pay -> pay == payType);
}
public String getTitle() {
return title;
}
}
|
이는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.
1
2
3
4
5
6
7
8
9
|
@Test
public void PayGroup_테스트() throws Exception {
PayType payType = selectPayTypeFromDB(); //payType = "KAKAO_PAY"
PayGroup payGroup = PayGroup.findByPayType(payType);
assertThat(payType.name()).isEqualTo("KAKAO_PAY");
assertThat(payType.getTitle()).isEqualTo("카카오페이");
assertThat(payGroup.getTitle()).isEqualTo("카드");
}
|
객체로 데이터 관리
카테고리 데이터를 핸들링할 때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JSON 형태로 카테고리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입니다.
Enum을 바로 JSON으로 return하게 되면 name()
만 출력됩니다.
1
2
3
4
|
data = {
code='code',
title='title'
}
|
위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이를 위해 클래스의 생성자가 일관된 타입을 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 합니다.
1
2
3
4
|
public interface EnumMapperType {
String getCode();
String getTitle();
}
|
값을 담을 클래스는 이 인터페이스를 생성자 인자로 받아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|
public class EnumMapperValue {
private String code;
private String title;
public EnumMapperValue(EnumMapperType enumMapperType) {
code = enumMapperType.getCode();
title = enumMapperType.getTitle();
}
public String getCode() {
return code;
}
public String getTitle() {
return title;
}
@Override
public String toString() {
return "{" +
"code='" + code + '\'' +
", title='" + title + '\'' +
'}';
}
}
|
Enum은 EnumMapperType
인터페이스의 구현체가 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|
public enum FeeType implements EnumMapperType {
PERCENT("정율"),
MONEY("정액");
private String title;
FeeType(String title) {
this.title = title;
}
@Override
public String getCode() {
return name();
}
@Override
public String getTitle() {
return title;
}
}
|
이제 JSON형태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 EnumMapperValue 클래스로 변환 후 전달하면 됩니다.
1
2
3
|
return Arrays.stream(FeeType.values())
.map(EnumMapperValue::new)
.collect(Collectors.toList());
|
이 코드는 클래스를 변환할 때마다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.
Enum의 상수들은 Runtime환경에서 변경될 일이 없기 때문에, Bean에 등록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이를 위해 EnumMapperValue 클래스를 담을 팩토리 클래스를 생성합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|
public class EnumMapperFactory {
private Map<String, List<EnumMapperValue>> factory = new LinkedHashMap<>();
public EnumMapperFactory() {
}
public void put(String key, Class<? extends EnumMapperType> e) {
factory.put(key, toEnumValues(e));
}
private List<EnumMapperValue> toEnumValues(Class<? extends EnumMapperType> e) {
return Arrays.stream(e.getEnumConstants())
.map(EnumMapperValue::new)
.collect(Collectors.toList());
}
public List<EnumMapperValue> get(String key) {
return factory.get(key);
}
public Map<String, List<EnumMapperValue>> get(List<String> keys) {
return Optional.ofNullable(keys)
.filter(k -> !k.isEmpty())
.map(k -> k.stream().collect(Collectors.toMap(Function.identity(), factory::get)))
.orElseGet(LinkedHashMap::new);
}
public Map<String, List<EnumMapperValue>> getAll() {
return factory;
}
}
|
String key
: EnumValue 인스턴스 이름
Class<? extends EnumMapperType> e
: EnumMapperType의 구현체만 오도록 제한
마지막으로, Bean으로 등록한 뒤 원하는 곳에서 get()
할 수 있습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|
@Bean
public EnumMapperFactory enumMapperFactory() {
EnumMapperFactory enumMapperFactory = new EnumMapperFactory();
enumMapperFactory.put("FeeType", FeeType.class);
// 관리할 Enum이 있다면 추가 등록
return enumMapperFactory;
}
...
//example controller GET
return enumMapperFactory.get("FeeType");
|
마무리
가변적이지 않은 데이터의 핸들링에 있어, 직접 입력하지 않고 Enum을 활용한다면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배웠습니다.
한 로직을 처리할 때 Enum을 활용하지 않는다면
- 메소드에 어떤 값들이 허용이 되는지
- 로직을 처리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메소드는 무엇이 있는지
- 데이터값이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
- 조건문을 통한 로직 구분
등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물론 Enum으로 모든걸 해결하려고 하면 안되지만, Enum을 적용함으로써 클래스 간 역할과 책임을 더욱 적극적으로 분배할 수 있음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